요즘은 대세가 영상물이다. 인스타그램 스토리도 그렇고 유튜브, 유튜브 쇼츠까지, 한 번에 많은 것을 전달할 수 있기도 하지만, 무엇보다도 언어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일 것이다. 뉴스나 낚시성 채널은 제외하고 말이다. 한때는 블로그가 그런 역할을 하곤 했다. 돈을 벌기 위해서 블로그를 하라는 책이 지금 유튜브에 대한 책보다 아마 훨씬 많았을 것이다. 하지만 모든 것은 흘러가는 법이듯이, 같은 위치를 SNS가 차지하고 있다.
그래서 이제 블로그로 돈을 번다는 이야기가 약간 수그러든 것이 나에게는 반갑다. 유튜브도 아무 생각 없이 혼자 즐기려고 올려놓은 것이 대박이 나는 일이 있듯이 블로그도 얼마든지 혼자 즐기려고 글을 쓰고 올릴 수 있는 공간이다. 물론 이 예는 대박이 났기 때문에 내가 접할 수 있어서 그렇게 든 것이고 블로그로, 그것도 글만으로 가득한 포스팅으로 대박을 치는 건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블로그는 내가 올리고 싶은 글을 올리는 곳이라 좋은 것이고, 그 좋은 점을 유지하기 위해 글을 쌓아가는 것이다. 원래는 워드 파일에 매일 이어서 일기쓰듯이 글을 모아 왔다. 그리고 연말이 되면 그것을 인쇄해서 가지고 있었는데, 시간이 지나고 보니 책으로 엮지 않고 종이 뭉치로 가지고 있게 되면 다시 읽기가 힘들다는 것을 알았다. 그러면 방법은 하나 뿐이다. 온라인으로 가지고 있는 것. 그래서 에버노트 같은 것도 생각을 했었는데, 그런 지엽적인 글쓰기 도구는 글을 쓰면서 관리하는 측면이지 나중에 (편집 없이) 읽기 위해서라고 하기에는 조금 그렇다. 그리고 접속할 수 있는 기계의 숫자가 정해져 있다는 것도 큰 문제였다. 단순히 읽기만 하는 것도 결국 접속을 해야 하는 거니까, 읽을 수 있는 기계의 수도 정해져 있는 것이다.
그래서 결국 해당 파일은 계속 작성하되, 공개해도 문제가 없어 보이는 글들은 그냥 블로그에 올려 두기로 했다. 그러면 그 파일의 크기도 작을 것이고 나중에 인쇄해서 가지고 있는다고 해도 대부분의 글은 블로그에서 읽을 수 있으니 크게 불편함이 없을 것이다.
그 파일에서도 단순하게 든 생각, 만든 이야기 등이 섞여 있어서 조금 불편한 감이 있었다. 그래서 블로그에는 카테고리를 나누어 놓았다. 태그는 처음부터 마음에 들지 않았는데 몇 년이 지나도 그다지 익숙하지 않다.
언제나 시작은 포부가 크다. 하지만 목표가 명확히 있는 것이 아닌, 산책하듯 쓰는 글을 모아둔다는 것에 포부가 있을 리가없다. 게다가 블로그를 만든지 꽤 된다. 그래서 시작도 없고 포부도 없다. 말 그대로 하얀 종이 위를 산책하는 연필심처럼 하얀 모니터 위를 산책하듯, 어떤 생각을 쳐다보았다가 흥미가 없어지면 다시 앞을 보고 걸어가는 그런 공간을 만들고 싶다.
'생각상자 > 에세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은 책방 (0) | 2024.04.17 |
---|---|
전자책 리더로 글쓰기 (0) | 2024.04.17 |
서재를 만들었다. (0) | 2021.09.11 |
무선 키보드 (0) | 2021.09.10 |
글쓰기에 대한 이미지 (0) | 2021.09.09 |